참샘연수_참샘_2017.5.20(토)_경상북도교육연수원
힘든 주말연수지만 관심있는 내용이기도 했고 강의를 잘하시는 참샘이 연수를 해주셔서 알차게 들었던 연수였다.
1. 비주얼씽킹의 좋은점
- 내용 전달이 쉽다. ex) 영어 단어 암기 등
- 정보의 압축이 크다. ex) 많은 판서, 말을 하나의 만화 장면으로 제시
- 공감대 형성이 가능하다.
2. 학급에 적용하기
- 표정 그리기, 그림일기 그리기 첫 시작은 가볍게
- 교사 시범, 학생 따라그리기
- 일부 제시, 학생 완성하기
- 문장 또는 단어를 시각화 해보기 ex) 화산의 종류-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산 모양에 표정 넣기 등 쉽게 생각하기)
- 그림 끝말잇기 ex) 단어제시 후 그림으로 끝말 잇고 짧은 시간에 완성하는 팀이 승리
- 아침 프로그램 활용하기
3. 학교에서 활용
- 그림 교육과정
- 그림 지도안
- 단원 학습 정리 마인드 맵 등
- 도덕과 가치 제시할때 그림 밑 빈칸 넣기
- 손가락 그림 이용하기(진로, 사회과 등)
- 인디 까박선생님 역사 만화 자료 + 역사 속 비주얼씽킹(임오사마방화도)
4. 그림 시작하기
- 사람 그리기
- 아이스크림 그림따라그리기 자료 활용
그림은 아이들이면 누구나 다 좋아한다.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만화를 아이들이 좋아하듯이 수업 중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교사가 그림을 잘 필요는 없다. 우리가 직접 그림을 그리기 힘들다면 요즘에는 수많은 그림들이 돌아다니고 있으므로 그것들을 활용하여 아이들에게 제시하고 예시를 들며 안내를 한다면 학생들은 더욱 뛰어나게 자신의 그림을 활용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그림의 능력이 아니라 그것을 이용하여 thinking, 즉 사고하고 기억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뼈다귀 그림, 졸라면 그림이더라도 자신이 수업 중 내용을 정리하고 공부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비주얼-> thinking 할 수 있게 안내하기
?) '국수사과체음미실영'에는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얼핏 생각해도 많다. 수학에는 활용할 수 없을까?
!) 그림 지도안, 교육과정이 인상적이었다. 우리가 보기에도 한눈에 들어왔는데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얼마나 편할까? 이렇게 한 것을 학생, 학부모에게 안내한다면 좋을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