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초등 수학과 관련 교구 수업 보드게임 등 다양한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2JgJ0XuqsUsDGe8IIfzdbA 이응석

카테고리

초등 수학 수업 이야기 (563)
2021 수학 6학년 (8)
2020 수학 4학년 (0)
2019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9)
2018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73)
2017_거꾸로 수학교실_3학년 (106)
2016_거꾸로 수학교실_4학년 (37)
일상 수업 활동 (68)
sw 동아리 코딩 수업 (8)
수업을 도와주는 독서 (2)
연수후기 (30)
학교 활용 프로그램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3-2-4..분수_4차시_묶음을분수로나타내기

3학년 수준의 아이들에게 분수 단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닐까 생각이 된다.

6은 18의 몇분의 몇인가?

라는 물음이 과연 3학년 수준에 적당한 물음이 될까? 수업 전에 수의 추상화 수준이 아직은 위상적 개념 수준에 있을 것 같은 아이들인데 이 개념이 너무 수준이 높다고 생각이 들었다. 

수업을 준비하면서 생각이 든 것은 

몇씩 묶는다는 것을 확실히 밝혀서 나누어지는 갯수를 발견하게 하는 것이 아이들게 중요한 핵심 내용인 것 같다.


일단 수업의 시작은 영상을 잘 보고 왔는지 공책을 확인하고


늘부터는 피쉬볼(FISH BOWL) 활동을 추가해서 새롭게 시작해보았다.  

거꾸로 수업을 하는데 있어 최근 연구에서 활동 시기에 따라 pre class, in class, after class 로 나누고 시기별 활동들을 많이 개발하고 있다. 

in class 즉 교실 수업 활동에서 피쉬볼 기법이 괜찮은 것 같아 활용해보고자 했다. 

사전영상을 보고 온 것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영상을 보며 궁금했던것이나 더 알고 싶어하는 것을 질문카드(피쉬)에 써서 수업전에 질문상자(어항=피쉬볼)에 넣으면 그것을 뽑아 학생들과 이야기 나누며 다른 친구가 답변을 하거나 교사가 도움을 주어 해결하는 형식으로 공부한 것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다. 

이전에 해보지 않은 방법이라 아침 등교 후 학생들의 질문카드를 받아보고 교사의 질문도 함께 넣어두고 시작을 했다.


우선 학생들의 질문 카드가 뽑혔다. 

질문을 문제형식으로 만든것 같았다. 문제만들기를 많이 하는 우리반 아이들이 만든것 같았는데 뽑는 순간 오늘 수업 내용이 아이들이 어려워하겠구나라고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의 오개념이 생각이 드는 문제였다.

30을 6씩 묶으면3은 30의 몇 분의 몇일까?

이 물음에 아이들은 6을 먼저 찾아야한다고 했다.

6은 30의 5분의 1이다.

그런데 여기서 3은 30의 몇분의 몇인것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여러가지로 고민을 하면서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는 중에 3씩 묶어야한다는 말이 나왔다.

몇씩 묶어야 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었다. 

칠판에 높아둔 것처럼 연결블럭으로 아이들에게 보여주었다. 3개씩 묶는다면 나올 수 있는 묶음 수를 세어보고 3은 30의 10분의 1이라는 것을 함께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교과서의 문제로 연결블럭을 활용한 친구 가르치기를 시작했다.

몇명의 친구들은 활동 후 앞에 나와서 전체 앞에서 설명을 해보기도 하였으며 그림 표현은 앞에서 그려주며 도와주었다.

활동 후에는 실물 자료가 아닌 그림으로 공책에 그려보고 묶어보며 ㅁ는 ㅇ의 몇분의 몇인지 찾는 방법에 대하여 다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때에는 아직 3학년 수준에서 찾기 위해 몇개로 묶는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되며 몇개로 묶는 것의 배를 분수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아이들과 깊이 토의를 나누어 보았다. 

6씩 묶었을때 3을 분수로 표현할 수 있을까?

6씩 묶었을때 12를 분수로 표현할 수 있을까?

12는 6씩 묶었다면 

단윈분수인 6씩 묶은 것의 두배로로 나타낼 수 있지만 

3은 그것의 반이기 때문에 분자 부분이 분수로 표현될 수 밖에 없기에 3학년 아이들은 할 수 없다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었다. 번분수이기에 표현이 아직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이었다. 이야기를 좀 더 하면 아이들이 알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오히려 오개념을 심어 줄 것 같아 아이들이 도달한 것 까지만 이야기를 나누고 수업을 마쳤다.

Posted by 이응석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