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수업 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563건
- 2019.07.22 소마큐브
- 2019.07.20 2019_4-1-1.큰수_8차시_큰수 도미노
- 2019.07.20 4-1-6.규칙찾기_5차시_덧셈,뺄셈 계산식에서 규칙찾기
- 2019.07.20 4-1-6.규칙찾기_3차시_계산도구를 활용하여 수배열표에서 규칙찾기
- 2019.07.20 4-1-5.막대그래프_9차시_막대그래프 해석하기_2019
- 2019.07.20 4-1-6.규칙찾기_6차시_곱셈, 나눗셈 계산식에서 규칙찾기
- 2019.07.15 4-1-6.규칙찾기_4차시_도형 배열에서 규칙찾기_예비선도교사 지역단위 수업공개 1
- 2019.07.10 4-1-6.규칙찾기_1차시_멘사퀴즈 규칙찾기
- 2019.07.10 4-1-5.막대그래프_7차시_교실 놀이 월드컵_2019
- 2019.07.10 4-1-6.규칙찾기_2차시_수배열표에서 규칙찾기_심층수업컨설팅 수업공개
2019_4-1-1.큰수_8차시_큰수 도미노
2019_4-1-1.큰수_8차시_큰수 도미노
9점 도미노를 활용하여 도미노를 만들어보고
사용한 도미노들로 큰수를 만들었습니다.
9점도미노에는 각각 4가지 색과 조각별로 점의 갯수가 다른데
만 천 백 십의 색깔을 뽑고 사용한 조각의 점의 수를 계산하여 큰수로 표현하고 모둠별로 크기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4-1-6.규칙찾기_5차시_덧셈,뺄셈 계산식에서 규칙찾기
4-1-6.규칙찾기_5차시_덧셈,뺄셈 계산식에서 규칙찾기
간단한 덧셈, 뺄셈 계산식에서 규칙을 찾아보고 자신의 말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자신의 말을 포스트잇에 써서 공유를 하고
멘사 문제를 활용하여 좀 더 심화된 문제속 덧셈 뺄셈 계산식을 찾고 규칙을 알아보았습니다.
규칙을 말로도 하지만 간단한 식으로도 학생들이 나타내볼 수 있었습니다.
4-1-6.규칙찾기_3차시_계산도구를 활용하여 수배열표에서 규칙찾기
4-1-6.규칙찾기_3차시_계산도구를 활용하여 수배열표에서 규칙찾기
테블릿PC의 계산기를 활용하여 규칙도 찾고 나만의 수배열표를 만들어 규칙찾기 문제를 내보았습니다.
1차시에 했던 멘사퀴즈를 활용하여 수배열표에서 규칙을 찾아보고
다양하게 자신의 말로 표현을 했습니다.
그리고 더 큰 수로 증가 또는 감소의 규칙이 있는 나만의 문제를 만들고 공유했습니다.
4-1-5.막대그래프_9차시_막대그래프 해석하기_2019
그려본 막대그래프를 상호 확인해보고 평가를 한 뒤 친구의 그래프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이야기는 일기형식, 뉴스형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막대그래프에서 찾을 수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글을 써보았습니다.
4-1-6.규칙찾기_6차시_곱셈, 나눗셈 계산식에서 규칙찾기
4-1-6.규칙찾기_6차시_곱셈, 나눗셈 계산식에서 규칙찾기
먼저 교과서의 간단한 계산식에서 규칙을 찾아보았습니다. 학생들이 영상으로 보고 왔지만 그것을 넘어 더 다양한 규칙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20 X 10=200, 20 X 20=400...
에서는 답의 증가, 곱하는 수의 증가, 곱해지는 수가 그대로
200÷2=100, 400÷2=200...
에서는 답의 증가, 나누는 수가 그대로, 나누어지는 수가 그대로 등의 규칙을 이야기했고
1 X 1 = 1
11 X 11 =121
111 X 111 = 12321
1111 X 1111 =1234321
에서 답의 가운데 수가 증가, 답이 가운데 수를 중심으로 차례로 감소, 곱해지는 수의 규칙을 이야기했습니다.
한 학생이 (곱해지는 수의 자리수 합) X (곱하는 수의 자리수 합) 을 하면 (답의 각 자리수 합)과 같다는 규칙도 이야기를 해서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멘사퀴즈의 다양한 규칙을 찾아보았습니다.
규칙을 더하고 나누기 2라는 것을 대부분 학생들이 이야기 했는데
첫째, 둘째를 더한것에 세번째를 빼면 세번째가 나온다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그러자 첫째, 둘째를 더한것에 세번째를 두번빼면 된다는 이야기도 나왔습니다.
4-1-6.규칙찾기_4차시_도형 배열에서 규칙찾기_예비선도교사 지역단위 수업공개
4-1-6.규칙찾기_4차시_도형 배열에서 규칙찾기_예비선도교사 지역단위 수업공개
매쓰러닝센터 수모형, IQ테스트 앱, 매직큐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조작하며 수학적 이야기를 나누어 볼 수 있는 활동을 해보고자 했습니다.
공개수업영상: https://youtu.be/-IqBDqoYchQ
먼저 사전 영상 속 도형 배열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규칙을 자신의 말로 써보고 확인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앱을 활용하여 도형 배열에서 찾을 수 있는 규칙을 알아보았습니다.
앱에서 답은 마지막에 확인할 수 있지만 그속에서 규칙은 설명되있지 않아서 학생들이 더욱 다양한 자기만의 규칙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창의적인 학생들의 규칙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매직큐브를 활용해서 도형 베열로 자신만의 문제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추가로 해당 수업 후 친구의 문제를 공유하며 확인하는데 잘했다고 추천하는 작품 중 오류가 있는 것들도 함께 수정해보았습니다.
4-1-6.규칙찾기_1차시_멘사퀴즈 규칙찾기
4-1-6.규칙찾기_1차시_멘사퀴즈 규칙찾기
규칙찾기에서 수의 증가, 감소, 도형의 이동 등을 활용한 다양한 규칙찾아보는 활동으로 멘사퀴즈를 활용해보았습니다.
첫시간으로 학생들이 규칙을 찾을 수 있는지, 자신의 말로 할 수 있는지를 단원 도입 활동으로 실시했습니다.
공개된 멘사퀴즈 중에 선별하여 학생들에게 주었으며 짝과 함께 이야기나누며 찾아보기를 했습니다.
활동 후에는 공유하며 설명을 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규칙 IQ테스트 앱을 이용한 규칙찾기도 해보았습니다.
4-1-5.막대그래프_7차시_교실 놀이 월드컵_2019
4-1-5.막대그래프_7차시_교실 놀이 월드컵_2019
월드컵 축구공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병뚜껑 축구공과 함께 반구로 골대, 폼보드로 경기장을 만들어 두명이 팀을 이루어 게임을 했습니다.
경기 규칙은 친구들과 이야기 나누어 정하고 1분 경기로 진팀이 다른 자리로 이동하여 다른 팀과 계속하여 경기를 했습니다.
활동후 어떤것을 가지고 막대그래프로 만들어 볼지 정하였는데
막은 수, 슈팅수, 드로잉 수 등 다양한 주제게 나왔고 그 중에서 우리가 정확히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결국 득점수를 하자는 의견으로 모아졌고 이를 활용하여 막대그래프를 웹 사이트를 활용하여 그려보았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인포그램 사이트를 이용해서 간단한 막대그래프로 표현하고 학생들이 찾을 수 있는 사실 및 비교등을 해보았습니다.
https://infogram.com/2019__-1h1749jrr0zl6zj?live
4-1-6.규칙찾기_2차시_수배열표에서 규칙찾기_심층수업컨설팅 수업공개
4-1-6.규칙찾기_2차시_수배열표에서 규칙찾기_심층수업컨설팅 수업공개
공개 수업 영상: https://youtu.be/FFH5B1UXmqE
IQ테스트 수 배열표 앱을 활용하여 규칙 찾기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규칙을 좀 더 재미있게 찾아보고자 했습니다.
IQ and Aptitude Test Practice 앱에 도형, 수배열표 매트릭스 등 종류별로 테스트 문제 및 정답을 확인할 수 있어서 영역별로 규칙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수업 사전영상: https://1drv.ms/v/s!As7gSEvu9d8r9C4kGq7gfNR5NbF3?e=2HBNvV
학생들이 사전 영상을 보고 온 뒤에 우선 관련된 질문을 이야기 나누는데
규칙찾기를 하면 어떤 점이 좋나요 라는 질문이 나왔습니다.
문제를 잘 풀 수 있다, 똑똑해 진다 등 규칙 찾기를 왜 배워야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와서 의미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활동 1에서 영상 속에서 보고 온 수 배열표의 규칙들을 다양하게 찾아보았습니다.
하나의 수배열표 속에서도 다양한 규칙들이 나왔으며 잘못된 규칙을 이야기하는데에서도 여러가지 설명들을 했습니다.
활동2에서
앱을 활용하여 수배열표 상의 규칙을 찾아보았는데 학생들이 짝으로 하며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활동 후 함께 찾은 규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앱을 다 풀고 난 뒤에 정답을 다 확인할 수 있기에 정답이 중심이 아닌 규칙을 찾는 것에 수업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맞추어졌고 학생들끼리 하나의 문제에도 다양한 규칙을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활동 3에서
예시를 들어주는데 틀린 규칙 문제를 만들어 주며 의도적인 딜레마 상황을 만들어 그것에 대한 학생들의 대답들을 들어보는데 학생들이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각자 문제를 만들고 교환하기를 하였으며 서로의 규칙에 대한 이야기를 더 나누었습니다. 숫자가 아닌 영어 단어로 만드는 등 다양하게 학생들은 변형하고 창의적으로 규칙을 만들어 나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