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 교수,학습자료 현장 적합성 검토 워크숍(2018.10.26~27 인천 하버파크 호텔)
도교육청 추천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과 교수,학습자료 검토위원으로 워크숍에 참석하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974435BDD75802F)
교과서나 지도서에 들어가는 자료는 아니지만 에듀넷-티클리어에 탑재하여 현장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게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였는데 기존의 자료들에서는 못보았던 참신한 수학 과제들이 개발되어 있었습니다.
개발진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교과서 내에 싣지 못하였지만 학생들이 고민을 해보고 수학적 의사소통이 많이 일어날 수 있으며 과정중심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내용들을 고민하여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학생들에게 활동지로 나누어주고 학습 또는 평가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활동 팁이나 자세한 설명,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등도 삽입되어 있었습니다. 모든 단원의 자료가 개발된 것이 아니라서 아쉬웠지만 필요한 내용들을 잘 활용한다면 수업이나 평가 등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5학년 1학기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예시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42E355BDD77982F)
교육부 연구사의 말에 의하면 개발 후 현장적합성 검토를 하게되었으며
학생참여과 과정중심평가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여 개별 학급에서 취사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4월부터 시작하고 선도교원 연수 등의 연수집에 있던 내용들이 끊임없이 수정되어서 최종 12월에 마무리가 되어
내년에 바로 교수학습자료가 보급하여 학교에서 쓸수 있도록 현장에 적합하며 교육과정의 이상도 반영하고 있는
상충되는 것을 모두 보일 수 있는 자료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42E365BDD29F023)
다른 교과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수학과의 경우
자료 개발진에는 교원대 방정숙 교수님 외 박사 학위 또는 박사 과정에 계신 선생님 7명분이 있었고 검토진도 나를 뺀 두 분다 교원대 수학과 박사님 1명, 박사 과정 선생님 1명으로 수학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분들로 구성되어 자료의 수준이 높을 수 밖에 없을 것 같았습니다.
개발을 할 때 모이면 새벽까지 작업 및 토의를 했다고 했는데 검토 역시 당일 새벽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다른 과목도 대부분 저녁 12시 정도까지 진행되었습니다.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내용 토의에 화제가 되었는데 상중하의 평가 기준에 최근에는 하의 경우 "안내된 절차에 따라~~ 할 수 있다." 로 설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이야기가 나왔는데 생각해 볼 내용인 것 같았습니다. 학교에서 하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안내된 절차에 따라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피드백의 경우에 못하는 학생에 대한 피드백뿐아니라 잘하는 학생에 대한 것도 함께 피드백도 함께 제시를 해두어 상 수준의 학생들이 더욱 잘 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료 탑재: 에듀넷-티클리어
http://www.edunet.net/nedu/ncicsvc/listTchLearn2015.do?boardNum=1&menu_id=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