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초등 수학과 관련 교구 수업 보드게임 등 다양한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2JgJ0XuqsUsDGe8IIfzdbA 이응석

카테고리

초등 수학 수업 이야기 (563)
2021 수학 6학년 (8)
2020 수학 4학년 (0)
2019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9)
2018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73)
2017_거꾸로 수학교실_3학년 (106)
2016_거꾸로 수학교실_4학년 (37)
일상 수업 활동 (68)
sw 동아리 코딩 수업 (8)
수업을 도와주는 독서 (2)
연수후기 (30)
학교 활용 프로그램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2019_4-1-2.각도_4차시_각도를 그려보기

 

1. 원하는 각도를 그려보는 활동인데 연습하기전 플립드러닝 영상속 내용을 잘 보고 왔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모둠에서 그 순서를 토의해서 써보자고 했습니다.

학생들 나름의 각도 그리는 방법을 설명했고 응모함에 넣고 몇 개를 뽑아 그 순서대로 교사가 따라해보며 빠진 내용, 정확하지 않은 방법을 이야기 나누며 추가했습니다.

2. 교과서 속에서 각도를 그리는 방법 순서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는 각도 땅따먹기를 했습니다.

가위(15도) ,바위(30도), 보(60도)를 하여 이길 경우 원에 그만큼의 각도를 서로 그려나갔습니다.

반복적인 연습이지만 짝과 게임형식으로 해서 재미있게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서로 확인해주며 각도를 그려나갔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sw 동아리 활등의 첫 시작을 이렇게 해보았습니다.

sw_1차시_code.org로 sw와 코딩 알아보기

1. 코딩을 배워야하는 필요성을 알아봅시다.


ebs.코딩-소프트웨어시대(12부작- 1부. 조용한 혁명)


https://www.youtube.com/watch?v=t346si4gy_M&list=PLITZPbVqfp5_KKqfQDLfO6A_DzG0fqubn

 

2. sw 교육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간단한 코딩 게임을 해봅시다.


sw교육의 기본인 프로그래밍언어 기초를 연습하는 게임입니다
연습을 한번 해보세요.


http://code.org/

학생들/튜터리얼 해보기(겨울왕국 등)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2.각도_3차시_각도 재어보기


각을 재어보는 것을 지난 1차시 친구들이 몸으로 각 만들기 했던 사진 자료를 이용해 해보았습니다.

영상을 시청한 것에 대한 확인하고 우수 학생을 뽑고


1. 친구의 사진에서 찾을 수 있는 각을 표시했습니다. 각의 꼭짓점과 선분을 표시하여두었습니다. 연필은 잘 보이지 않아서 색이 있는 마카펜으로 표시하였고


2. 각도기로 학생들이 자신이 찾은 각을 측정했습니다.

3, 활동지를 친구들이 서로 평가자가 되어 평가를 했습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친구의 각도 측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을 해주었습니다.

각도기 사용이 처음이라서 다양한 모양의 각을 잴때 각도기의 밑금, 각도기의 중심을 어디에 대는지 헷갈려하는 학생들은 돌아다니면서 수정을 했습니다.





3. 마무리로 벌집보드에 각을 그려두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한 뒤 자기 책상위에 보드판은 놓아두고 다른 친구가 측정을 잘했는지 전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을 하러 다녔습니다.

활동 후 이야기를 나눌때 각도기를 사용할 때 각도기의 중심과 밑금을 맞추는 것이 어렵다.

180도 보다 큰각을 재는 방법, 선분이 짧은 각을 재는 방법에 대한 물음이 나와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어 해결해보기도 했습니다. 180도 보다 큰각은 180도를 보조선으로, 선분이 짧은 각은 길게 선을 그어서 측정하는 연습을 해보는 경험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2.각도_2차시_각의크기비교하기


1. 각의 크기를 어떤 방법으로 하면 잘 할 수 있을지 먼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가장 많이 나온 대답은 가져다 대어서 비교한다 였는데 종이에 그려진 것을 땔 수 없기 때문에 투명 종이에 그려서 대어본다고 이야기 나왔습니다.

교과서 상에는 그렇게 되어있는데 그렇다면 각도를 때어내서 비교하자고 했습니다.

2. 각도막대를 활용하여 각을 만들고 크기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3. 모둠 친구들끼리 각을 만들어 크기를 비교했습니다. 

친구의 각이랑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이야기 해보았는데 손가락 만큼, 손가락 두개 만큼 차이가 난다는 이야기들이 오고 갔습니다. 임의단위에 대한 생각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각이 조금 차이날 경우나 움직이다가 각도 막대가 틀어지는 경우 비교를 어떻게 해야할까 토의를 했는데 여기서 벌어진 정도를 나타내면 좋겠다는 이야기도 나누어보았습니다. 결국 다음 차시에 하는 보편단위인 각도 측정에 대한 이야기로 나갔습니다.

각을 때어내지 못할 경우에는 투명종이로 간접비교를 할 수 밖에 없기에 교과서의 문제를 활용하여 직접 못 때어 내는 경우 각의 크기를 투명종이로 이용하여 해결도 했습니다.


미러링을 하여 친구의 각을 보여주던 중 화면을 확대 하여 만든 각을 보여주었는데 학생들이 그러면 각의 크기가 달라진다고 하여 그것에 대한 마무리 물음을 짝 토의로 알아보았습니다.

각을 확대될 경우 달라진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결국 정확하게 측정해보자고 하여 앱을 가지고 정확하게 재어보았습니다.

직각을 확대하면 직각이 안될까? 하는 물음으로 마무리를 했는데 학생들에게는 직접비교, 간접비교, 임의단위 보편단위



Posted by 이응석
, |

학생들의 구글 계정 생성이 가능하며 구글클래스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글 G suite 교육기관용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여 학교 계정을 만들었습니다.

기초 지식이 없어 여러글을 찾아보고 주변 선생님께 도움을 구해서 했는데 저의 경우에는 총 4단계를 거쳐서 계정 업그레이드까지 되었습니다.

1. 2차 도메인 생성: 가비아, 2. 인증 요청: 학교홈페이지 지원센터, 3. DNS 변경 및 MX 레코드 추가: 가비아, 4. G suite for education 기관 계정 업그레이드 요청: 구글에 메일 발송

3번 단계까지 하고 난 뒤에 아래처럼 활성화가 되었다는 메일을 받았으나 G suite 무료 계정이었고 받은 메일로 G suite for education 계정 업그레이드 메일을 보내야 되었습니다.

 

1. 2차 도메인 생성

경북의 경우에 도메인이 길기 때문에 그대로 생성했을 경우 인증도 잘안되고 사용하기도 어렵다고 다른 선생님의 글에서 보았습니다.

경북 이희명선생님 인증 후기: https://gyo6.pe.kr/26

 

경북교육청 소속 학교 G Suite for Education 등록하기

교육기관은 G Suite를 간단한 도메인 인증 절차를 거치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 Suite는 구글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서비스로, 클라우드 컴퓨팅, 생산성 및 공동 작업 도구, 소프트웨어 및 제품의 브랜드..

gyo6.pe.kr

그래서 가비아에서 2차 도메인을 생성했습니다. 1년에 14,300원 이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경북의 경우 학교 홈페이지 주소가 school.gyo6.net/seonju 에서 seonju.es.kr 로 접속 가능하고 G suite for education로 계정을 만들었을때도 아이디@seonju.es.kr 로 짧게 생성이 됩니다.

2. 인증 요청

학교홈페이지 지원 센터/구글앱스신청 게시판에 글을 올리고 답변을 받았습니다. 진행해준다고 하고 DNS 서버 주소를 변경하라고 했습니다.

3. DNS 변경 및 MX 레코드 추가

가이아로 2차도메인용 포워딩을 했기에 역시 가비아에서 DNS 서버 변경 및 MX 레코드 추가를 하였습니다.

4. G suite for education 기관 계정 업그레이드 요청

며칠 후, 학교 G suite 계정이 활성화 되었다는 구글 메일을 받고는 인증이 완료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학생 계정을 생성해보려고 했는데 계속 대량 추가가 실패하여 확인해보니 계정은 아직 무료 평가판 계정이었습니다. 그래서 왜 안되냐고 구글에 실시간 채팅 고객센터도 문의도 했는데 기다리면 될꺼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교육용으로 계정 업그레이드를 해보신 선생님께 문의를 해보니 이메일을 보내셨다고 해서 처음 온 구글 메일로 업그레이드 요청 이메일도 발송하였습니다. 

요청이 끝나고는 계정이 업그레이드 되어 교육용 기관 G suite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2.각도_1차시_각을 찾아보기

1. 3학년때 각을 배웠던 것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몸으로 각을 표현해보았습니다. 사진을 미러링을 보여주며 친구가 표현한 것이 왜 각인지 이야기를 나누어보며 꼭짓점, 선분, 변, 반직선 등 각의 구성 요소를 다시 떠올려 보았습니다.

2. 교실 속에 각이 있는 부분은 어디일지 발표를 하고 반대로 각이 없는 곳은 어디일지도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3. 친구들과 각을 표현하기를 했는데 표현 후 사진을 보여주며 각의 구성 요소가 되는 부분에 대한 확인도 하고 이것은 3차시 각도 측정을 할때 활동지로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활동 후 단원 학습전 각도 단원에 대한 설문지로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해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https://apps.mathlearningcenter.org/

웹페이지로 들어가면 다양한 수학 교수학습 도구를 교수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테블릿pc가 있으면 학생들이 직접 다루어 볼 수도 있습니다.

첫화면으로 접속하고

그중에 번호조각(수 모형)으로 들어가면 

수 모형을 분해 결합하거나 아래쪽의 가로, 세로 수직선이 활용성이 높습니다. 수직선을 늘이고 줄이고, 간격 점선 표시도 가능하며 전자칠판이 있다면 필기도 바로 하여 교수용으로 보여주기 편합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1.큰수_7차시_수의 크기 비교하기

 

4학년 밴드에 다른 지역 선생님이 수업하신 게 떠올라서 모둠에 끼리 만든 수 비교하기를 해보았습니다.

1. 자릿값으로 비교해보기

- 모둠 칠판을 주고 모둠원들이 각자 십 주사위를 굴려 숫자 4개를 쓰고 모아서 큰 수를 만듭니다.

- 각 모둠의 1번이 나와서 한팀이 되어 숫자를 모아 붙입니다.

- 각 모둠의 2번이 나와서 한팀이 되어 숫자를 모아 붙입니다. ...

만들어진 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어떻게 비교했는지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2. 수직선으로 비교해보기

math learning center 에 들어가면 수 모형, 수직선 등을 교수용으로 사용하기 편한데 거기에 있는 수직선을 활용해서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https://apps.mathlearningcenter.org/number-pieces/ 

 

Number Pieces by The Math Learning Center

Overview Number Pieces helps students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place value while building their computation skills with multi-digit numbers. Students can: Use number pieces to represent multi-digit numbers, regroup, add, subtract, multiply, and di

apps.mathlearningcenter.org

교실에 전자 칠판이라서 직관적으로 보여주며 필기도 가능해서 손 쉽게 수직선에 대한 개념을 학생들과 이야기 할 수 있었습니다.

정리활동으로는 수학 교과서의 실생활 물건 가격 비교를 통해 마무리 하고 웹상으로 실제 물건들의 가격도 함께 검색하며 비교도 해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1.큰수_6차시_뛰어세기

뛰어세기를 하는 것은 큰 수 사이에서 규칙을 찾아내고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야할 것이다.

1. 주어진 문제에서 뛰어세기를 찾는 것이 아니라 수를 하나 주고 자신만의 뛰어세기를 만들어 보자고 했습니다.

직접 만들어 보며 자기가 뛰어세기 만든 것을 보여주고 모둠 친구들과 함께 풀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난 뒤 칠판에 희망학생의 뛰어세기를 쓰고 전체에서 어떻게 뛰어세기 한 것인지 찾아보았습니다.

2. 지난 시간에 문제만들기를 경험해보았으니 이번에는 문제만들기에 문제 교환하기까지 추가해보았습니다.

자신이 뛰어세기 문제를 만들고 교실을 이동하며 다른 친구의 문제를 풀고 교환하는 활동으로 다양한 문제도 경험하고 문제가 잘못되었다면 직접 수정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활동을 할때에는 꼭 자신의 이름을 써두고 차시 평가에 활용할 수도 있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4-1-(1)지도로 본 우리 지역_나만의 기호 만들기


지도의 기호와 범례를 알아보고 내가 생각하는 장소의 기호를 만들어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