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초등 수학과 관련 교구 수업 보드게임 등 다양한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2JgJ0XuqsUsDGe8IIfzdbA 이응석

카테고리

초등 수학 수업 이야기 (563)
2021 수학 6학년 (8)
2020 수학 4학년 (0)
2019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9)
2018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73)
2017_거꾸로 수학교실_3학년 (106)
2016_거꾸로 수학교실_4학년 (37)
일상 수업 활동 (68)
sw 동아리 코딩 수업 (8)
수업을 도와주는 독서 (2)
연수후기 (30)
학교 활용 프로그램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어울림프로젝트_자기존중_기본_1차시 <좋은 친구 되기>


학교생활을 하면서 좋은 친구란 어떤 친구일지 그리고 나는 좋은 친구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활동1

친구란 ~~ 다 

국어시간 의견과 근거 단원과 연계하여 허니컴보드 앞에는 한 문장을 쓰고 이유를 뒷장에 쓴 뒤에 모아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활동2

이번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주는 친구가 좋은 친구라고 생각하는지 친구 쪽지를 써본뒤에 나는 그런 친구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앞으로 학교 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될 텐데 서로가 좋은 친구가 되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1.큰수_5차시_억과 조  알아보기


5차시 영상을 보면 억과 조에 대해 약속하기 부분이 있는데 그부분에 대해 잘 이해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그냥 하는 정해진 수학적 약속이라서 수업중에 다르게 토의를 해보았습니다.


활동1

1억=10000만 이라고 읽으면?

1조=10000억 이라고 읽으면?

짝끼리 토의 후 찬반에 대해 손들어보고 그 다음 모둠에서 토의 후 찬반에 대해 손을 들어보았습니다. 점점 10000 만, 10000 억 에 대해 반대하는 쪽이 많아졌고 전체 이야기에서 친구들에게 들었던 의견을 말해 달라고 했습니다.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 하는데는 주저하지만 다른 친구가 이렇게 이야기했어요 라는 것에는 쉽게 손을 들어 이야기 해주었습니다.

만만, 만억 이라고 한다면 뒤에 몇만이 나오게 되면 헷갈려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새로운 수로 읽는 것이 편하다 는 이야기들을 나누었습니다.


활동2

억과 조를 이용한 문제만들기를 해보자고 했습니다. 벌집보드를 학기초라 사용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교환하고 푸는 것보다는 활동 후 문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같이 해보았습니다.

벌집보드 문제만들기를 하고 난 뒤 앞에 붙이고 미러링으로 보여주며 친구의 문제를 해결해보았습니다.

문제만들기를 할때 처음하면 학생들이 항상 어려운 문제를 내려고 하는데 활동 후 좋은 문제는 어떤 문제일까? 에 대해 같이 이야기해보면 친구들이 잘 풀 수 있는 것이 좋은 것이라고 학생들이 이끌어 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1.큰수_4차시_십만,백만,천만 알아보기


영상을 보고 온 뒤 정리해오는 것을 수업전 살펴보고 있는데

학생들이 영상 속의 내용을 다 써 와야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습니다.

자신이 생각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만 간단히 정리하는 것에 대해 다시 안내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찍은 것을 미러링으로 보여주고 친구가 정리를 잘한 점, 나라면 어떻게 정리할까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었습니다.

1. 인구수 알아보기

구글에서 세계의 인구수 그래프를 보고 인구수를 읽어보며 반복해보았습니다.

그때 인구수를 나타내는 수에는 3자리 수 마다 쉼표가 쓰여져 있어서 그것에 대한 의견도 나누어 보았습니다.


쉼표가 3자리 수 마다 쓰여져있는 이유는 영어 표현 때문이라서 이때 우리는 네자리씩 끊어서 읽는것이 좋다는 의견들이 나오며 쉽게 읽는 팁을 학생들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 쉼표 없음 = one, ten, hundred 

1, 10, 100

- 쉼표 하나 = thousand

1,000 one thousand, 10,000 ten thousand, 100,000 hundred thousand

- 쉼표 둘 = million

1,000,000 one million, 10,000,000 ten million, 100,000,000 hundred million



2. 생활 속 십만, 백만, 천만 쓰기

말풍선을 그려 생활속에서 사용하는 말을 써보았습니다. 다양한 말이 나왔고 

실제 그 물건 등의 수치가 어떻게 나오는지도 함께 예상하고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1.큰수_3차시_다섯자리수 알아보기


지난 시간에 친구들의 공책 사진을 찍어준것이 학생들에게 강화로 작용한 듯 보였습니다.

다섯자리수를 알아보는데에


1. 십 주사위로 다섯자리수를 만들어 읽고 쓰기, 확인하기

1차시에 네 자리 수를 만들어 했던 활동과 비슷하게 짝이랑 십 주사위로 다섯자리수를 만들어 읽고 쓰기, 확인하기를 하였습니다. 첫 시간에는 활동하며 많은 수를 하지 못했는데 한번 해봐서 익숙한지 활동에 속도도 붙었습니다.

서로 확인도 해주고 도와주는 것도 좋은 것이라고 언급해 주었습니다.


2. 활동하는 것을 관찰하며 찍어 둔 몇개를 미러링으로 보여주며

왜 틀렸다고 했을지, 다른 친구가 확인한 것이 맞는지 전체에서 확인도 하고

1단원 설문지에서 잘 모르겠다고 이야기 나온 자릿값에 대해서 토의도 해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_1단원.큰수_2차시_1000 이 10 개인 수 만들기


플립드러닝으로 만들어둔 영상을 보고 처음으로 정리해 온 공책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미니언즈로 만들어진 영상이라 재미있게 보고 왔다는 학생들이 많았었고

처음으로 코넬노트를 정리한 거지만 대부분 열심히 해온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1. 1000이 10개인 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알아보았습니다.

1000 의 ? 배

100 의 ? 배

10 의 ? 배

에 대한 물음을 짝과 이야기 나누어보게 하고 칠판에 써 뒤 발견할 수 있는 규칙은 없을까에 대한 토의도 나누었습니다.

앞의 수가 0이 하나씩 작아지고 뒤에 수가 0이 하나씩 커진다는 말도 있었고 앞뒤의 0의 개수가 뒤에 합해진다는 말도 있었습니다.


2. 실제 만이 얼마나 큰수인지 수의 감각을 길러보기 위해 만을 직접 만들어 보려고 했습니다.

우선 교실에 있는 수 모형으로 1 10 100 1000의 크기를 보여주고 만이면 얼마나 커져야 할까에 대해 다른 것으로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우유 바구니, 쓰레기통, 티비 등의 이야기가 나왔고 모두 함께 연결블럭을 활용해서 만개의 블럭을 연결해보며 수의 감각도 익혀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_1단원.큰수_1차시_네자리수 주사위 게임


1단원의 첫시간으로 지난 학년까지 학생들이 배운 큰 수에 대해 게임형식을 하며 짝과 함께 확인해보았습니다.


준비물: 십주사위, 컵, a4 종이

방법: 문제를 만들어 주는 사람은 주시위를 네번 던지고 숫자를 차례대로 읽어 주며 반대사람은 그 숫자를 쓰고 읽습니다. 출제자는 맞으면 확인을 해주고 제한시간 내에 번갈아가며 활동을 합니다.

혼자 문제를 풀고 확인하는 것 보다 게임 형식으로 했을 때 재미를 느꼈고 서로 확인하는 역할을 주니 책임감 있게 친구가 쓰는 것을 기다리며 이야기 나눌 수 있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2019_4-1_수학은 내친구

1학기 첫 수학 시간으로 교과서 앞쪽의 수학은 내친구 부분의 카드 게임활동을 했습니다.


숫자카드 놀이가 세가지 있었는데 학기초 짝이나 모둠에서 친교놀이처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카드 뽑아 수 비교하기

2. 곱셈식 만들기

3. 규칙 완성하기


1. 카드 뽑아 수 비교하기: 짝끼리 카드 뭉치에서 카드를 뽑아 만든 수의 크기를 비교하기

- 한자리, 두자리, 세자리, 네자리 수를 만들며 자리 수를 늘여갑니다.


2. 곱셈식 만들기: 카드를 뽑아 곱셈식을 만들고 안될 경우 돌아가며 교환하기

-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지만 실제로 해보면 학생들이 생각보다 빨리 만들어내어 반복할 수 있습니다.

 

완성한 곱셈 식은 나와서 칠판에 적어두고 활동이 끝난 뒤 전체에서 함께 확인도 해봅니다.


3. 규칙 완성하기

곱셈식 만들기와 비슷한 방법으로 학생들끼리 보드게임처럼 할 수 있어 모둠에서 함께 즐길 수 있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Posted by 이응석
, |

4-2-4.사각형_6차시_평행사변형 알아보기



수업 사전 영상(플립드러닝 사전 과제): http://bitly.kr/17Hd

수업의 실제: https://youtu.be/dxohnvQrq54

수업 요약 동영상: https://youtu.be/1s5URjcsnEI


수업전 학생들의 수학 공책을 확인해보았습니다. 모둠별 우수학생들을 뽑아 보았습니다.


친구들이 질문상자에 넣어 둔 질문을 가지고 동기유발 활동으로 실시하고


활동 1에서 과제로 알아온 평행사변형의 개념을 활용해 자신이 생각하는 평행사변형을 모둠에서 만들고 설명해보았습니다.


활동2에서는 좀더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투명모눈판과 도형막대를 주고 평행사변형을 만들어보고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사각형 만들고 평행사변형인지 설명하기

평행사변형은 회전하거나 방향이 달라져도 평행사변형일까?

평행사변형은 변이 움직여도 평행사변형일까?

그과정에서 학생들이 변에 대한 성질도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활동3에서는 평행사변형 개념을 활용하여 퀴즈를 만들고 서로 풀어보았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4-2-4.사각형_5차시_사다리꼴 알아보기


사다리꼴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 영상 과제를 해오고 난 뒤에 학생들이 다양한 사다리꼴 모양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다리꼴을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해보았습니다.


동기유발로 우선 학생들의 질문을 서로 답해보았습니다.

공부를 잘 해온 친구들이 대신 답변을 해줍니다. 

이제는 익숙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활동1로 점판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모둠에서 사다리꼴을 만들며 그것이 사다리꼴인 이유에 대하여 설명을 나누었습니다. 


점판은 점이 찍혀있기 때문에 모양이 다양하게 나오기는 어렵지만 오개념이 생기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활동2에서는 도형 막대를 이용하여 사각형을 만들고 그것이 사다리꼴인지 아닌지 설명을 해보았습니다.

만든 사각형은 책상옆에 올려두고 선생님이 지나다니면서 설명을 요청했습니다.


한변이 평행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투명 모눈 판 위에 올려서 만들고 설명을 했습니다.

책상안쪽이 철판이라 도형 막대 뒤에 자석을 붙였습니다. 그러면 만든 사각형이 책상위에 붙기 때문에 이야기를 나누기 편했습니다. 


활동3으로 보드판에 점판을 붙인 것으로 사다리꼴 개념을 활용한 사각형 퀴즈를 내어 서로 풀고 설명하기를 했습니다.

사각형 퀴즈라서 ox 퀴즈를 많이 냈고 객관식 문제로 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