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초등 수학과 관련 교구 수업 보드게임 등 다양한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2JgJ0XuqsUsDGe8IIfzdbA 이응석

카테고리

초등 수학 수업 이야기 (563)
2021 수학 6학년 (8)
2020 수학 4학년 (0)
2019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9)
2018_거꾸로 수학 교실_4학년 (73)
2015개정_4학년_1학기_수학 (57)
2015개정_4학년_2학기_수학 (15)
2017_거꾸로 수학교실_3학년 (106)
2016_거꾸로 수학교실_4학년 (37)
일상 수업 활동 (68)
sw 동아리 코딩 수업 (8)
수업을 도와주는 독서 (2)
연수후기 (30)
학교 활용 프로그램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4-1-2.각도3차시_각도 재어보기


각도를 재어보는 것을 주제로 2차시에 아이들이 만든 각도를 활용하여 수업을 이끌어보고자 하였다.

아이들이 몸으로 만든 각에서 각도를 표시(꼭짓점과 변)하고 각도기를 이용핵서 크기를 재어보며 각도기도 활용하며 다음차시에 각을 그리기는 것과도 연계가 되게 해 볼 수 있다고 생각을 했다.

각도 수업을 해보면 각도기로 각을 재는 것은 잘 하는데 각을 그리라고 하면 막상 어려웠던 것이 기억이 나서 자신들이 만든 것에서 각을 그려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역시 수학 사전 영상으로 공부해온것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코넬노트 형식으로 쓰고 있는데 맨 밑에는 노트 정리 후 느낀점 등을 쓰는 란인데 한 친구가

예각과 둔각이라는 말을 써놓은 것을 보았습니다.

물어보니 이미 예각, 둔각이라는 단어를 들어본적이 있어서 이것도 재어보고 싶었다고 했습니다.

동기유발에서는 공부해온 각도기를 재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1. 활동1

활동 1에서 아이들이 지난 시간에 표현한 각 중 4가지를 저애서 인쇄물로 내어주었다.

여기에서 아이들은 친구들이 표현한 것에서 각도를 표시해보았다.

그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며 무엇을 표시해야할까? 에 대한 대답으로 

지난 시간에 했던 것을 떠올려 꼭짓점과 변을 그려야 된다고 하고 있으며

직접 표시도 해보았다.


2. 활동 2

활동 1에서 바로 이어서 각도기를 활용하여 자기가 표시한 각도를 각도기를 이용하여 재어보았다.


각도기를 활용하여 자신들이 표시한 각을 재어보고

발표하고 싶은 친구들을 받아

결과를 사진으로 찍어 미러링으로 보여주며 발표도 하여 공유해 보았다. 

대부분 아이들은 다리 부분을 꼭짓점으로 하여 각도를 표시하였는데 손을 맞잡은 부분을 각도로 표시하여 180도를 재어놓은 아이도 몇명 보였습니다. 꼭 사진 속에서 특정한 부분을 이야기 하지 않고 좀 더 자율성을 주어 

"사진 속에서 볼 수 있는 각도를 표시하여 재어보자 "

라는 개방적인 과제를 주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았다.


Posted by 이응석
, |

4-1-2. 각도 2차시_큰 각 찾아보기

친구랑 각을 만들고 큰 각을 찾아보았습니다~각도기가 필요한 이유도 이야기 나누었네요~

우선 사전 영상 과제를 잘 보고 왔는지 우수자도 뽑으며 시작을 했습니다.


1, 동기유발: 지난 시간에 친구들이 만든 각을 보고 어떤 각이 예뻐보이는지 들어보았습니다.


2. 활동1: 지난 시간에 친구들이 만들 각을 찍은 사진을 보고 어떤게 큰각 인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미 180도라는 표현을 쓰면서 발표하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며 비슷해보이는 친구 두명의 각을 정해 모니터에서 어떻게 비교를 하면 좋을 지 물어보았습니다.

교과서의 내용을 영상을 통해 보고 와서 직접 대어본다, 투명종이로 그려서 대어본다고 하였는데 이때 작은 리듬 막대를 꺼내어 몇개 들어가는지 함께 세어보았습니다.


3. 활동2: 모둠 친구들끼리 손가락을 이용하여 큰각을 만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서로 잇는 도형을 만드는 친구들이 많아 사진을 찍어 미러링으로 보여주고 활동을 잠깐 멈추고 여기서 함께만든 각은 어디인지도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만든 각은 꼭짓점이 같아야된다는 것을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그 후에 만든 각입니다. 역시 찍어서 미러링을 통해 이야기 나누며 큰각을 찾아보았습니다.

4. 활동3: 학급 전체에서 자신이 원하는 친구와 각을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활동 중 사진을 찍어 미러링으로 친구들이 만든 각 중에 큰각을 역시 리듬막대가 몇개 들어가는 지로 비교해보았습니다.


그 중에 몇가지 아이들이 만든 갓을 함께 이야기해보았는데


일단 친구끼리 만든 각을 칠판에 그려주었다. 

하나는 타원으로 만든 각이었고 하나는 일반적인 각이었습니다.

둘다 각이 될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었는데 3학년때 배운 개념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들은 각에 있는 것이 꼭짓점, 변이 있어야 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타원에 있는 부분에는 각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자기들끼리 잘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2단원 각도에서 앞으로 배우게 될 각도 재기, 각도 그리기 등에서도 꼭짓점과 변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어야 되는데 뒤 차시 내용들과 잘 연계될 수 있을 것 같은 활동이었던 것 같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4-1-2.각도-1차시_각찾고 표현하기+설문지


3학년때 평면도형 단원을 하며 각 이라는 것을 아이들은 배웠다. 

우선 2단원을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설문지를 하며 배웠던 것을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1. 교실속에서 각찾기를 하였는데 여러 가지 사물에서 각을 찾았다.

변과 변끼리 연결되지 않은 것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해서 교실에 있는 컵과 각도기에서 각이 있는지 물어보았다.

컵에서는 정면에서 보면 있다 는 대답이 나왔고
각도기에서는 밑에 일직선이 180도 라는 말까지 나왔다.

180도가 무엇이냐고 물으니 쭉 그어진 것, 각도기 밑에 있는 선 이라는 대답을 했다.


2. 두번째 활동으로는 하나 둘 셋에 자신이 만들 수 있는 깍을 만들어 보라고 했다.

손으로 v를 하고 팔을 펴서 만들고 어떤 아이는 온 몸을 사용해서 표현하기도 했는데 이것을 활용하여 다음 시간 어느각이 더 큰지 알아보는 활동으로 이어가 볼 생각이다.


설문지에는 간단한 세문항을 해보았다. 3학년때 각의 의미와 직각의 의미에 대해 공부했었는데 잘 기억하고 있는지, 그리고 각도기를 활용하는데 경험이 있을지에 대한 물음이었다. 대부분 각에 대한 이야기는 잘 했고, 직각에 대해서는 헤매고 있는 아이들이 있었다.

2단원 설문지 결과

https://1drv.ms/b/s!As7gSEvu9d8r8FTbivKaotYQcBZl


Posted by 이응석
, |

4-1-1-1.큰수-미니언즈_1차시_설문지

1단원 평가를 하고 나니 큰수를 쉽다고 했던 아이들이 생각보다 잘 못하는 것을 확인하고는 

복습용 영상을 만들고 다시 플립드러닝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단원 복습 영상은 미니언즈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중심 플립드러닝으로 시작하였습니다.

호응이 좋으면 2단원부터는 수학 사전영상으로 거꾸로 수학 교실을 운영하려고 합니다.

영상은 수업나누리(nanuri.gyo6.net) 개인 마실을 이용해 공유합니다.


Posted by 이응석
, |

4-1-1.큰수_7차시_수의 크기 비교


평창 동계올림픽의 내용을 활용하여 동기유발도 하고 실제 수의 크기도 비교해보았습니다.


동기유발: 동계올림픽 개회식

개회식에 등장하는 나라별 인구를 보고 읽고 쓰기를 해보았습니다.

천만 자리까지는 쉽게 쓰고 읽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의 자릿값에 대하여 이야기도 나누어 보고 4자리씩 끊어 읽는 것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도 나누어 보았습니다.


억단위로 가면서는 쓰고 읽는데 어려움을 느껴 4자리씩 끊어서 읽기가 잘안되는데 

수업을 하다가 중간에 

10000억 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만억"이라고 쓸 수 있을까?

아이들 답변으로는
억에는 한계가 있으니 만억은 안된다.
1조라는 수가 있으니 만억은 안된다.
써도 될 거 같다

이번에는 10000만 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만만"이라고 쓸 수 있을까?

모든 아이들이 
헷갈릴 것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9999 0600 0800 0000 
9999조 6백억 8천만
처럼 네자리씩 끊어읽으면 좋을 거 같다 라고 생각을 해 볼 수 있었습니다.

수가 커지더라도 읽고 쓰는 기본적인 방법만 잘 익혀두면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4-1-1.큰수_5차시_억과 조 알아보기


동기유발: 전차시 상기하기

활동1: 9999 9999 보다 1큰수_자릿값 알아보기

활동2: 9999 9999 9999 보다 1큰수_자릿값 알아보기


지난 시간 알아본 십만 백만 천만을 학생들이 쓸 수 있는지 희망자를 받아 써보았습니다.

아이들이 헷갈릴 수 있는 중간에 0이 들어간 수를 이야기 해보니 역시 생각대로 자신있게 나온 학생들도 틀리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이들끼리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될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

억과 조로 넘어갔습니다.

천만의 자리에 대한 개념이 확실하고 4자리씩 끊어서 생각하는 것이 잘 된다면 쓰고 읽기나 자릿값에 대해 헷갈리는 것이 바로 잡히지 않을까 생각을 했습니다. 

수업을 하고 난 뒤에 이렇게 진행하는 것 보다는 친구들이 서로 퀴즈를 내어 쓰거나 읽는 것이 어땠을까하고 생각해보았습니다. 전체가 함께 해결하고 각자 몇 문제를 푸는 것보다 친구들끼리 한다면 더 많은 연습이 되지않을까합니다.

다음 차시인 뛰어세기를 하기 전 짝과 함께 큰수 서로 퀴즈를 내어 수를 읽거나 써보는 활동을 해볼 생각입니다. 


Posted by 이응석
, |

4-1-1.큰수_3차시_다섯자리 수 알기


큰수에 대해서 알아보고 자신만의 문제를 만들어 교환하며 다양한 문제도 해결해보았습니다.

활동1. 24387 알아보기

활동2. 53174 알아보기

활동 1~2는 한 명은 수를 읽고, 한 명은 수를 앞에 나와서 써보기를 해보았습니다.  활동 1은 간단히 읽어보고 쓰는 것을 위주로, 활동2는 자릿값을 위주로 해보았습니다. 다섯자리수 까지는 아직 어려워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활동3. 벌집보드 문제 만들기

앞으로 자주 해볼 예정이기에 아직은 쉬운 이번 차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문제를 만들고 친구들과 서로 교환하기를 해보았습니다.

문제를 처음 만들어보았는데 각자 자신의 문제를 끝까지 만들고 친구의 문제도 다양하게 풀어보았습니다. 친구들이 풀기 쉽게 만들어보자고 하였지만 다섯자리수로 덧셈을 뺄셈 문제를 내는 친구들고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그것을 해결하는 모습도 보며 아이들의 수준을 알아보는 시간도 되었습니다. 

Posted by 이응석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