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교사연구회(동아리) 연수_교사연구회 연수_4.14.토_경주한화리조트
- 학교 문화와 교실 수업의 변화를 선도하는 교사연구회(동아리)
1. 특강_대전광역시교육청 장학사 김용옥
95년도부터 교육연극에 관심이 많이 있었고 교사 연구회도 많이 해보셨다고 했다.
교사시절 생각했던것이 이런 교사 연구회 처럼 선생님들이 함께하는 자리가 많아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5EC3A5AD36FAC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569425AD36FB01E)
요즘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각 나라에서도 고유한 브랜드를 내세워서 인더스트리 4.0 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의 브랜드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 교육에서 내세우는 것은 창의 융합형 인재
장학사님은 협력하는 괴짜를 키우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런 인재를 기르고 교육을 브랜드화 시키기 위해서 먼저 해야될 것은 교사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도 조사를 보면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A1A4B5AD36FB52E)
즐겁다는 사람도 별로 없고 10명중 3명 전근가고싶다, 20프로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한다 고 한다.
교사가 즐겁게 일하고 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구축이 시스템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1CF355AD36FBF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764495AD36FC30E)
전문적 교사 학습공동체 plc를 지원하는 준거도 2015 개정 교육과정 상 지침도 있으며 이를
국가수준, 교육청 수준, 학교 수준에서 교사 모임을 지원해야 된다고 하였다.
런 이 아니고 러닝, 같이 배워서 남주자 를 모토로
자율적 운영, 전문적 활동을 할수 있는 기회 제공, 교장의 리더쉽 연수 등에서 강조를 하며 교사 모임을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요즘 많은 자발적 교사공동체, 연구회들이 어떤 곳은 교육청에서 지원을 해준다고 해도 신청하지 않는 곳들이 있다.
물어보니 지원을 받아서 한다는 것을 부담스럽다고 하였는데 계획서를 제출하고 활동하고 난 뒤에 보고서를 틀에 맞추어 제출하는 것이 부담으로 느껴진다는 것이었다. 그냥 자기들끼리 날을 잡아 각자의 회비를 걷어서 카페 등에서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활동하는 것이 편하다는 것이었는데
사실 학교에서 있으면 다양한 일들로 인해 동학년끼리도 모이는게 힘들다.
하지만 교사들끼리 모이게 되면 자연스럽게 수업에 대한 이야기, 학생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게 되는데 이런 형식적인 것에 대한 부담을 좀 더 줄여준다면 교사 모임이 더 활성화되지 않을까?
2. 수업탐구교사공동체_봉곡초 교사 이동훈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3DD415AD36FC933)
수업에 대한 반성으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공부를 하기 위해 시작을 했다고 한다.
3의 법칙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는데
한명이 가르키면 보지 않지만 3명이 가르키면 주변에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함께할 사람들이 적어도 시작을 한다면 의미있는 모임될 수 있을 것이다.
3. 수업탐구교사공동체_길안초 교사 이승민
여러학교의 선생님들이 모인 학교 연합형 모임이었다. 다양한 지역의 선생님들이 모임을 가진다는게 엄청난 열정이 보였다.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에 중점을 두고 모임 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포워드와 반대되는 과정에 관심가지고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한다고 하였다.
마직막에 장학사님이 나오셔서 계획서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는데
사이먼 사이넥_성공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다.
WHY HOW WHAT 의 순서로 일을 계획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swot 분석시, 외부적인 기회가 있는가?, so 전략 등이 연계가 되도록 생각을 해보고 계획서를 구안할 때는 실제적으로 구체적 계획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수업탐구 교사공동체 예산 사용 관련하여 안내를 해주었다.
협의회비가 20%로 늘었는데
자주 모이고 자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리 만들기, 친목 도모를 좀 더 하라는 취지인 것 같았으며 되도록이면 필요없는 자료 구입 및 제작하지 말고 실제로 사용해야되는 곳에 투입을 하라는 조언도 해주었다.
교사 모임에 되도록 부담을 줄이려고 하는 것이 느껴졌으며 앞으로의 활동에 대해 고민을 조금은 해결하게 되었다.